[파이썬 기초] set 합집합,교집합,차집합,대칭차집합 구하는 법 (메소드 이용)
[파이썬 기초] set 합집합,교집합,차집합,대칭차집합 구하는 법 (메소드 이용) 두 set 정의합시다. a={1,2,3,4,5}b={3,4,5,6,7} 합집합 >>> a.union(b){1, 2, 3, 4, 5, 6, 7} 교집합 >>> a.intersection(b){3, 4, 5} 차집합 >>> a.difference(b){1, 2} 대칭차집합 >>> a.symmetric_difference(b){1, 2, 6, 7}
2020. 11. 4.
[파이썬 기초] set 원소 추가, 삭제 방법
[파이썬 기초] set 원소 추가, 삭제 방법 set을 하나 정의합시다. >>> a={1,2,3,4,5} >>> a {1, 2, 3, 4, 5} 원소 추가 (add 메소드) >>> a.add('a') >>> a {1, 2, 3, 4, 5, 'a'} 원소 여러개 추가 (update 메소드) >>> a={1,2,3,4,5} >>> a.update([7,8,9]) >>> a {1, 2, 3, 4, 5, 7, 8, 9} 원소 삭제 (remove 메소드) >>> a={1,2,3} >>> a.remove(2) >>> a {1, 3} 원소삭제 (discard 메소드) >>> a={1,2,3} >>> a.discard(2) >>> a {1, 3} discard 와 remove의 차이는, discard의 경우 제거하려는..
2020. 11. 3.
[파이썬 기초] set 소개 및 정의
[파이썬 기초] set 소개 및 정의 set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구조중 하나입니다.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중괄호로 정의함 ex) {1,2,3} - 순서가 없음, 인덱싱 불가 - 원소 중복 불가 - 원소로 튜플, 문자열을 가질 수 있음 - 원소로 리스트,딕셔너리를 가질 수 없음 - 서로 다른 자료구조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음 - 값의 제거, 추가는 가능하나 수정은 불가 - 집합 연산가능 set은 중괄호를 이용하여 정의합니다. 아래는 set 정의 예시입니다. >>> a={1,2,3} {1, 2, 3} >>> a={3,2,1} {1, 2, 3} >>> a={1,2,'a'} {1,2,'a'} >>> a={1,2,(1)} {1, 2} >>> a={1,1,2,2} {1, 2} >>> a..
2020. 11. 3.
[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튜플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튜플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range 함수 설명 range 함수는 0을 포함한 자연수의 수열을 반환해주는 함수입니다. 세가지 사용방법이 있습니다. range(값)range(시작값,끝값+1)range(시작값,끝값+1,간격) range를 이용하여 tuple 정의 range 함수 결과에 tuple 함수를 적용하면 됩니다. >>> tuple(range(5))(0, 1, 2, 3, 4) >>> tuple(range(2,4))(2, 3) >>> tuple(range(2,9,2))(2, 4, 6, 8) >>> tuple(range(2,10,2))(2, 4, 6, 8)
2020. 11. 3.
[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리스트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리스트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range 함수 설명 range 함수는 0을 포함한 자연수의 수열을 반환해주는 함수입니다. 세가지 사용방법이 있습니다. range(값)range(시작값,끝값+1)range(시작값,끝값+1,간격) range를 이용하여 list 정의 range 함수 결과에 list 함수를 적용하면 됩니다. >>> list(range(5))[0, 1, 2, 3, 4] >>> list(range(2,4))[2, 3] >>> list(range(2,9,2))[2, 4, 6, 8] >>> list(range(2,10,2))[2, 4, 6, 8]
2020. 11. 3.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2) 중첩이 있는 경우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2) 중첩이 있는 경우 튜플 안에 튜플을 정의한 것을 '중첩'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중첩이 있는 경우의 인덱싱을 알아봅시다. 이중 중첩 튜플이 이중으로 중첩된 튜플을 정의합시다. >>> T=((1,2),3)>>> T((1, 2), 3)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봅시다. >>> T[0](1, 2) 첫번째 원소는 리스트 (1,2) 입니다. 첫번째 원소인 리스트 (1,2)의 첫번째 원소 1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T[0][0]1 삼중 중첩 리스트가 삼중으로 중첩된 리스트를 정의해봅시다. >>> T2=(((1,2),1),2)>>> T2(((1, 2), 1), 2)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봅시다. >>> T2[0]((1, 2), 1) 첫번째 원소의 첫..
2020. 11. 2.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1) 중첩 없는 경우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 (1) 중첩 없는 경우 튜플에서 인덱싱을 하는 방법입니다. 중첩이 없는경우와 있는 경우로 나눠서 살펴볼 것이며, 이번 글은 중첩이 없는 경우입니다. 먼저 튜플을 하나 정의하겠습니다. >>> T=(1,2,3,4,5)>>> T(1, 2, 3, 4, 5) 하나의 원소에 접근 리스트 L의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보겠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합니다. >>> T[0]1 구간을 이용하여 여러 원소에 접근 구간을 이용할 때는 콜론 : 을 사용합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원소에 접근할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번째 원소의 접근방법이 T[0]이었으니까, 두번째 원소까지의 접근은 아마 T[0:1]가 떠오르실 것입니다. 아쉽게도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 원소만 출력되었습니다. T[0]와..
2020. 10. 30.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소개, 정의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소개, 정의 튜플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구조중 하나입니다. 원소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리스트를 이미 알고계신 분들이라면, 변경이 불가능한 리스트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소괄호로 정의함 ex) (1,2,3) - 순서가 있음 - 원소로 튜플를 가질 수 있음 - 원소로 다른 자료구조(튜플,문자열,딕셔너리)를 가질 수 있음 - 서로 다른 자료구조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음 - 수정이 불가능함 정의 방법은 괄호 없이 숫자를 콤마로 구분하여 입력하거나, 소괄호를 이용합니다. 아래는 튜플 정의 예시입니다. >>> T1=(1,2,3) >>> T1 (1,2,3) >>> T2=(1,2,'a') >>> T2 (1, 2, 'a') >>>..
2020. 10. 30.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를 리스트를 이용하여 정의하기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를 리스트를 이용하여 정의하기 Key에 해당하는 리스트와 Value에 해당하는 리스트를 이용하여 딕셔너리를 정의해봅시다. 먼저 Key로 사용할 리스트와 Value로 사용할 리스트를 정의합시다. >>> K=['apple','banana','Plum']>>> K['apple', 'banana', 'Plum']>>> V=[1,2,3]>>> V[1, 2, 3] 자료형을 묶어주는 zip 함수를 적용한 뒤, 딕셔너리를 생성하는 dict 함수를 적용해줍니다. >>> dict(zip(K,V)){'apple': 1, 'banana': 2, 'Plum': 3}
2020. 10. 30.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에 딕셔너리 추가하기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에 딕셔너리 추가하기 딕셔너리를 하나 정의합시다. >>> Dic1={'Apple':'사과','Banana':'바나나','Plum':'자두'}>>> Dic1{'Apple': '사과', 'Banana': '바나나', 'Plum': '자두'} 또 다른 딕셔너리를 정의합시다. >>> Dic2 = {'a': 1, 'b': 2, 'c': 3}>>> Dic2{'a': 1, 'b': 2, 'c': 3} Dic1 에 Dic2를 추가합시다. . >>> Dic1.update(Dic2)>>> Dic1{'Apple': '사과', 'Banana': '바나나', 'Plum': '자두', 'a': 1, 'b': 2, 'c': 3}
2020. 10. 30.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 인덱싱
[파이썬 기초] 딕셔너리(Dictionary) 인덱싱 딕셔너리를 하나 정의합시다. >>> Dic={'Apple':'사과','Banana':'바나나','Plum':'자두'}>>> Dic{'Apple': '사과', 'Banana': '바나나', 'Plum': '자두'} 딕셔너리를 인덱싱 할 때는, 인덱스로 key를 이용하여 인덱싱합니다. >>> Dic['Apple']'사과' 여러 원소에 동시에 접근하는 인덱싱 방법은 없는 것 같네요. >>> Dic['Apple','Banana']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Dic['Apple','Banana'] KeyError: ('Apple', 'Banana') >>> Dic[['Apple','Banan..
2020. 10. 27.
[파이썬기초] 리스트 요소 길이 순으로 정렬 (sort)
[파이썬기초] 리스트 요소 길이 순으로 정렬 리스트 요소를 길이 순으로 정렬할 때는 sort 메소드에서 key=len 을 입력해주면 됩니다.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1,2,3,4,5] >>> L [1,2,3,4,5] 길이순으로 정렬해봅시다. >>> L.sort(key=len)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L.sort(key=len) TypeError: object of type 'int' has no len() 오류가 발생합니다. int는 길이가 정의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요소로 문자열이나 리스트를 넣어야 합니다. 리스트를 다시 정의합시다. >>> L=[[1,2],'asd','a',[1,2,3,4,5],'asdf'] >..
2020. 10. 23.
[파이썬기초] 리스트 요소 순서 거꾸로 뒤집기 (reverse 사용)
[파이썬기초] 리스트 요소 순서 거꾸로 뒤집기 (reverse 사용) 리스트 요소의 순서를 거꾸로 뒤집을 때는 reverse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1,2,3,4,5]>>> L[1,2,3,4,5] 순서를 거꾸로 뒤집어봅시다. >>> L.reverse()>>> L[5, 4, 3, 2, 1]
2020. 10. 23.
[파이썬기초] 리스트 내림차순, 오름차순 정렬하는 방법 (sort 사용)
[파이썬기초] 리스트 내림차순, 오름차순 정렬하는 방법 (sort 사용) 오름차순과 내림차순에는 sort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숫자 오름차순 정렬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 L=[1,5,2,4,3]>>> L[1,5,2,4,3] 오름차순 정렬합시다. >>> L.sort()>>> L[1, 2, 3, 4, 5] 숫자 내림차순 정렬 리스트를 하나 정의합시다. L=[1,5,2,4,3]L[1,5,2,4,3] 내림차순으로 정렬합시다. >>> L.sort(reverse=True)>>> L[5, 4, 3, 2, 1]
2020.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