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튜플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파이썬기초] range 함수로 튜플 정의하기 (등차수열 쉽게 정의하기) range 함수 설명 range 함수는 0을 포함한 자연수의 수열을 반환해주는 함수입니다. 세가지 사용방법이 있습니다. range(값)range(시작값,끝값+1)range(시작값,끝값+1,간격) range를 이용하여 tuple 정의 range 함수 결과에 tuple 함수를 적용하면 됩니다. >>> tuple(range(5))(0, 1, 2, 3, 4) >>> tuple(range(2,4))(2, 3) >>> tuple(range(2,9,2))(2, 4, 6, 8) >>> tuple(range(2,10,2))(2, 4, 6, 8)
2020. 11. 3.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2) 중첩이 있는 경우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2) 중첩이 있는 경우 튜플 안에 튜플을 정의한 것을 '중첩'이라고 부르겠습니다. 중첩이 있는 경우의 인덱싱을 알아봅시다. 이중 중첩 튜플이 이중으로 중첩된 튜플을 정의합시다. >>> T=((1,2),3)>>> T((1, 2), 3)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봅시다. >>> T[0](1, 2) 첫번째 원소는 리스트 (1,2) 입니다. 첫번째 원소인 리스트 (1,2)의 첫번째 원소 1에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T[0][0]1 삼중 중첩 리스트가 삼중으로 중첩된 리스트를 정의해봅시다. >>> T2=(((1,2),1),2)>>> T2(((1, 2), 1), 2)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봅시다. >>> T2[0]((1, 2), 1) 첫번째 원소의 첫..
2020. 11. 2.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과 슬라이싱 (1) 중첩 없는 경우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인덱싱 (1) 중첩 없는 경우 튜플에서 인덱싱을 하는 방법입니다. 중첩이 없는경우와 있는 경우로 나눠서 살펴볼 것이며, 이번 글은 중첩이 없는 경우입니다. 먼저 튜플을 하나 정의하겠습니다. >>> T=(1,2,3,4,5)>>> T(1, 2, 3, 4, 5) 하나의 원소에 접근 리스트 L의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보겠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합니다. >>> T[0]1 구간을 이용하여 여러 원소에 접근 구간을 이용할 때는 콜론 : 을 사용합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원소에 접근할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첫번째 원소의 접근방법이 T[0]이었으니까, 두번째 원소까지의 접근은 아마 T[0:1]가 떠오르실 것입니다. 아쉽게도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번째 원소만 출력되었습니다. T[0]와..
2020. 10. 30.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소개, 정의
[파이썬 기초] 튜플(Tuple) 소개, 정의 튜플은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구조중 하나입니다. 원소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합니다. 리스트를 이미 알고계신 분들이라면, 변경이 불가능한 리스트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소괄호로 정의함 ex) (1,2,3) - 순서가 있음 - 원소로 튜플를 가질 수 있음 - 원소로 다른 자료구조(튜플,문자열,딕셔너리)를 가질 수 있음 - 서로 다른 자료구조를 동시에 원소로 가질 수 있음 - 수정이 불가능함 정의 방법은 괄호 없이 숫자를 콤마로 구분하여 입력하거나, 소괄호를 이용합니다. 아래는 튜플 정의 예시입니다. >>> T1=(1,2,3) >>> T1 (1,2,3) >>> T2=(1,2,'a') >>> T2 (1, 2, 'a') >>>..
2020.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