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umpy43

[파이썬 numpy] 개수로 간격을 설정하여 배열 생성 (linspace) [파이썬 numpy] 개수로 간격을 설정하여 배열 생성 (linspace) 첫항,끝항,개수을 입력하면 간격이 일정하고 입력한 개수를 갖는 배열을 생성해줍니다. 첫항 2, 끝항 10, 개수가 5개인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linspace(2,10,5)array([ 2., 4., 6., 8., 10.]) 2020. 10. 19.
[파이썬 numpy] 등차배열 생성 (arange) [파이썬 numpy] 등차배열 생성 (arange) 첫항,끝항,간격을 입력하면 첫항이상, 끝항 미만의 값을 갖는 배열을 생성합니다. 첫항 2, 끝항 10, 간격 2인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arange(2,10,2)array([2, 4, 6, 8]) 첫항 1, 끝항 3, 간격 0,7인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arange(1,3,0.7)array([1. , 1.7, 2.4]) 하나의 값만 입력하면 첫항이 0이고 간격이 1이고, 길이가 입력값인 배열을 생성해줍니다. >>> np.arange(10)array([0, 1, 2, 3, 4, 5, 6, 7, 8, 9]) 2020. 10. 19.
[파이썬 numpy] 1차원 배열를 원하는 형태의 배열로 만들기 (reshape) [파이썬 numpy] 1차원 배열를 원하는 형태의 배열로 만들기 (reshape) 1차원 배열을 2차원 배열로 1차원 배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A1=np.array([1,2,3,4,5,6])>>> A1array([1, 2, 3, 4, 5, 6]) 2행3열인 2차원배열로 만들어봅시다. >>> A1.reshape(2,3)array([[1, 2, 3], [4, 5, 6]]) 1차원 배열을 3차원 배열로 1차원 배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B1=np.array([1,2,3,4,5,6,7,8,9,10,11,12])>>> B1array([ 1, 2, 3, 4, 5, 6, 7, 8, 9, 10, 11, 12]) 2높2행3열짜리 3차원 배열을 정의합시다. 2높은 높이가 2라는 의미입니다. >>> B1.res.. 2020. 10. 19.
[파이썬 numpy] 대각행렬 생성 (eye) [파이썬 numpy] 대각행렬 생성 (eye) 대각행렬은 대각선위치에만 값이 있는 행렬을 말합니다. diagona matrix 라고 부릅니다. numpy에서 제공하는 대각행렬 생성 메소드는 대각선에 값 1을 갖는 행렬을 생성해줍니다. numpy 를 불러오고 시작합시다. import numpy as np 2x2 대각 행렬 >>> np.eye(2)array([[1., 0.], [0., 1.]]) 3x3 대각 행렬 >>> np.eye(3)array([[1., 0., 0.], [0., 1., 0.], [0., 0., 1.]]) 2020. 10. 19.
[파이썬 numpy] 모든 값이 사용자 지정값인 배열 생성 (full) [파이썬 numpy] 모든 값이 사용자 지정값인 배열 생성 (full) numpy 를 불러오고 시작합시다. import numpy as np 1차원 배열 지정 값이 7이고, 길이가 5인 1차원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full(5,7)array([7, 7, 7, 7, 7]) 2차원 배열 지정 값이 7이고, 2행3열인 2차원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full([2,3],7)array([[7, 7, 7], [7, 7, 7]]) 입력 시 사용하는 괄호는, 대괄호 소괄호 상관 없습니다. >>> np.full((2,3),7)array([[7, 7, 7], [7, 7, 7]]) 3차원 배열 지정 값이 7이고, 크기가 2x3x4인 2차원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규칙은 (높이)x(행)x(열) 입니다. >.. 2020. 10. 19.
[파이썬 numpy] 모든 값이 0인 배열 생성 (zeros) [파이썬 numpy] 모든 값이 0인 배열 생성 (zeros) numpy 를 불러오고 시작합시다. import numpy as np 1차원 배열 모든 원소가 0이고, 길이가 5인 1차원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zeros(5)array([0., 0., 0., 0., 0.]) 2차원 배열 모든 원소가 0이고, 2행3열인 2차원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 np.zeros([2,3])array([[0., 0., 0.], [0., 0., 0.]]) 입력 시 사용하는 괄호는, 대괄호 소괄호 상관 없습니다. >>> np.zeros((2,3))array([[0., 0., 0.], [0., 0., 0.]]) 3차원 배열 모든 원소가 0이고, 크기가 2x3x4인 2차원 배열을 생성해봅시다. 규칙은 (높이)x(행.. 2020. 10. 19.
[파이썬 numpy] 배열 합치기 (stack 메소드) [파이썬 numpy] 배열 합치기 (stack 메소드) 배열을 합치는 방법 중에 stack 메소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세가지 메소드가 있습니다. hstack (가로방향) vstack (세로방향) column_stack (열벡터로 인식한 뒤 가로방향) 1차원 배열 먼저 배열을 정의하겠습니다 . import numpy as np A1=np.array([1,2,3]) B1=np.array([4,5,6]) >>> A1 array([1, 2, 3]) >>> B1 array([4, 5, 6]) hstack 함수는 열 방향(가로방향)으로 합쳐줍니다. >>> np.hstack((A1,B1)) array([1, 2, 3, 4, 5, 6]) vstack 함수는 행 방향(세로방향)으로 합쳐줍니다. >>> np.. 2020. 10. 19.
[파이썬 numpy] 배열 합치기 (concatenate 메소드) + axis 개념 [파이썬 numpy] 배열 합치기 (concatenate 메소드) + axis 개념 concatenate 메소드는 선택한 축(axis)의 방향으로 배열을 연결해주는 메소드입니다. concatenate 는 '사슬 같이 연결하다'는 의미입니다. 1,2,3차원배열에 적용해보며 사용 방법과 축의 의미를 이해해봅시다. 1차원 배열 먼저 배열을 정의하겠습니다 . import numpy as np A1=np.array([1,2,3])B1=np.array([4,5,6]) >>> A1array([1, 2, 3]) >>> B1array([4, 5, 6]) 아래와같이 1차원 배열에 concatenate 메소드를 적용해봅시다. axis=0으로 하였습니다. >>> np.concatenate((A1,B1),axis=0)array.. 2020. 10. 16.
[파이썬 numpy] 배열의 크기/차원/길이 확인 [파이썬 numpy] 배열의 크기/차원/길이 확인 배열을 하나 정의하고 시작합시다. >>> A2=np.array([[1,2,3],[4,5,6],[7,8,9],[10,11,12]])>>> A2array([[ 1, 2, 3], [ 4, 5, 6], [ 7, 8, 9], [10, 11, 12]]) 몇행 몇열인가? >>> A2.shape(4, 3) 전체 원소 수는? >>> A2.size12 행의 수는? >>> len(A2)4 *1차원배열(벡터)의 경우는 원소 수와 같음 몇 차원 베열인가? >>> A2.ndim2 2020. 10. 16.
[파이썬 numpy] 2차원 배열의 인덱싱/수정 [파이썬 numpy] 2차원 배열의 인덱싱/수정 2차원 배열의 인덱싱과 수정방법을 알아봅시다. 배열의 인덱싱은 배열의 특정 원소(들)에 접근하는 것입니다. 특정원소에 접근하면 그 값을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배열의 수정도 함께 배울 것입니다. 먼저 배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A2=np.array([[1,2,3],[4,5,6],[7,8,9]])>>> A2array([[ 1, 2, 3], [ 4, 5, 6], [ 7, 8, 9], [10, 11, 12]]) 하나의 원소에 접근 1행2열에 접근 >>> A2[0,1]2 구간을 이용하여 여러 원소에 접근 1행에 접근 >>> A2[0]array([1, 2, 3]) 2열에 접근 >>> A2[:,1]array([ 2, 5, 8, 11]) 처음부터 또는 .. 2020. 10. 16.
[파이썬 numpy] 1차원 배열의 인덱싱/수정 [파이썬 numpy] 1차원 배열의 인덱싱/수정 1차원 배열의 인덱싱과 수정방법을 알아봅시다. 배열의 인덱싱은 배열의 특정 원소(들)에 접근하는 것입니다. 특정원소에 접근하면 그 값을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배열의 수정도 함께 배울 것입니다. 먼저 배열을 하나 정의합시다. >>> A=np.array([1,2,3,4,5,6,7])>>> Aarray([1, 2, 3, 4, 5, 6, 7]) 하나의 원소에 접근 배열 A의 첫번째 원소에 접근해보겠습니다. 대괄호를 사용합니다. >>> A[0]1 구간을 이용하여 여러 원소에 접근 구간을 이용할 때는 콜론 : 을 사용합니다. 첫번째와 두번째 원소에 접근할 때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마 A[0:1]가 떠오르실 것입니다. 아쉽게도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첫.. 2020. 10. 16.
[파이썬 numpy] 배열 데이터타입 종류/정의/확인 [파이썬 numpy] 배열 데이터타입 종류/정의/확인 numpy 데이터타입 종류 데이터 종류는 크게 숫자형, 문자형, 논리형(부울형), 날짜시간형으로 나뉩니다. 파이썬에서 문자형은 string 입니다. (R과 다르게 문자 하나하나의 인덱싱이 가능합니다.) 숫자형은 정수형, 부호없는 정수형, 부동소수형, 복소수형으로 나뉩니다. 부울형은 True, False 데이터인데 숫자로는 0과 1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부울형은 숫자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숫자형1-1. 정수형(int8, int16, int32, int64)1-2. 부호 없는 정수형(uint8, unit16, unit32, unit64)1-3. 부동소수형 (float16, float32, float64)1-4. 복소수형 (complex64,.. 2020. 10. 16.
[파이썬 numpy] 배열(array) 소개, 정의 [파이썬 numpy] 배열(array) 소개, 정의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기본 자료구조가 있지만, 수학적인 계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R이나 매트랩과 같이 수치계산을 위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에서는 '배열'이라는 자료구조를 제공합니다. 배열은 행렬과 벡터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1차원 배열이 '벡터', 2차원 배열이 '행렬'입니다. 따라서 배열을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은 행렬계산이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파이썬 라이브러리 중 numpy 를 설치하면 배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numpy 설치 numpy를 먼저 설치해봅시다. [시작]-[실행]에 cmd를 검색해서 까만 창을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numpy가 설치됩니다. pip install numpy 혹시 에러가 뜨는 경우, 에러 메시지를 구글에 입.. 2020.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