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87

파이썬 개행(Enter) 하는 방법 백슬래쉬 \ 를 입력하면 개행이 가능합니다. >>> 3\ +5 8 >>> a=5\ ;b=3 >>> a 5 >>> b 3 2021. 3. 2.
파이썬 문자열 양 끝의 공백 제거 (strip,lstrip,rstrip) 파이썬 문자열 양 끝의 공백 제거 (strip,lstrip,rstrip) 양 끝의 공백 제거 (strip) 문자열 양 끝의 공백을 제거할 때는 strip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s=" hello ">>> s.strip()'hello' 문자열 왼쪽의 공백 제거 문자열 왼쪽의 공백을 제거할 때는 lstrip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s=" hello">>> s.lstrip()'hello' 문자열 오른쪽의 공백 제거 문자열 오른쪽의 공백을 제거할 때는 rstrip 메소드를 사용합니다. >>> s="hello ">>> s.rstrip()'hello' 2020. 12. 5.
파이썬 문자열 대소문자 변경 메소드 (upper, lower) 파이썬 문자열 대소문자 변경 메소드 문자열에는 대소문자를 변경하는 메소드가 있습니다. 대문자로 변경 : upper() 소문자로 변경 : lower() 예를 들어봅시다. 먼저 소문자를 대문자로 바꿔봅시다. >>> s='hi hello' >>> s.upper() 'HI HELLO' 이번에는 대문자를 소문자로 바꿔봅시다. >>> s2="HI HELLO" >>> s2.lower() 'hi hello' 2020. 12. 5.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불필요한 소수점 제거 (format 메소드)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불필요한 소수점 제거 (format 메소드) format 메소드에 실수를 입력할 때 불필요한 소수점을 제거해봅시다. 불필요한 소수점은 아래 소수에서 소수점의 0부분을 말합니다. 3.355000 {}.format() 을 정의할 때 대괄호 안에 :g 를 입력하면 됩니다. >>> "{:g}".format(3.355000)'3.355' 2020. 12. 5.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실수 입력 형식 (format 메소드)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실수 입력 형식 (format 메소드) format 메소드의 매개변수로 실수를 입력해봅시다. >>> "{}".format(35.35)'35.35' 이때 {}안에 실수가 입력되는 형식을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실수라는 것부터 설정해봅시다. {:f} 라고 입력하면 됩니다. >>> "{:f}".format(35.35)'35.350000' 소수점 6자리가 디폴트입니다. 이 외에 몇가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전체가 몇칸인지 설정할 수 있씁니다. 예를들어 숫자가 6칸이고, 전체가 8칸이라고 입력하면 앞에 2칸이 띄어지게 됩니다. >>> "{:10f}".format(35.35)' 35.350000' 소수점 포함 9칸인데, 전체 칸을 10으로 입력했으므로 앞에 1칸이 띄어집니다. 소.. 2020. 12. 5.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정수입력 칸 설정 (format 함수)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 생성, 정수입력 칸 설정 (format 함수) format 함수의 입력값이 정수인 경우 몇가지 형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정수를 입력할 때는 대괄호 안을 {:d} 로 설정해줍니다. 정수를 입력할 경우 알아서 정수로 인식되기 때문에 별다른 조건형식을 설정하지 않을 경우 :d를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끝나는 칸 설정 아래와 같이 입력한 숫자가 끝나는 칸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4d 라고 입력할 경우 4번째 칸에서 숫자가 끝나도록 한다는 의미입니다. >>> "{:1d}".format(35)'35' >>> "{:2d}".format(35)'35' >>> "{:3d}".format(35)' 35' >>> "{:4d}".format(35)' 35' 끝나는 칸 설정 + 빈칸 0으로 채우.. 2020. 12. 5.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을 생성하기 (format 메소드) 파이썬 매개변수로 문자열을 생성하기 (format 메소드) 매개변수로 문자열을 생성해봅시다. 예를들면 a=3 이라는 변수가 있을 때, 이 변수를 이용사 문자열을 만들고 싶은 것입니다. 아래 코드를 봅시다. >>> a=3>>> "a"'a' a라는 변수를 정의했지만, 문자열을 씌우면 a를 변수로 인식하여 3을 입력받는게 아니라 a를 문자로 입력받습니다. 우리는 a를 변수로 인식하여 문자열로 만들고 싶습니다. 이런 경우 사용하는 메소드가 format 메소드입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큰 따옴표 안에 {} 대괄호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대괄호가 매개변수가 출력될 자리입니다. >>> a=3>>> "{}".format(a)'3' 여러 변수를 넣을 수도 있습니다. 대괄호를 여러개 사용하면 됩니다. >>> a=3>.. 2020. 12. 5.
파이썬에서 들여쓰기의 의미와 일반적 들여쓰기 파이썬에서 들여쓰기의 의미와 일반적 들여쓰기 C언어와 다르게 파이썬은 들여쓰기가 실제로 '의미'를 갖습니다. C언어에서 들여쓰기를 하는 이유는 '보기좋게'하기 위함인데, 파이썬에서는 들여쓰기가 원칙입니다. 들여쓰기를 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if문을 예로 들면, 들여쓰기를 하지 않고 아래와 같이 코딩할 경우 에러가 발생합니다. if a==1 :print('hello world') 아래와 같이 한 칸이라도 띄어야 합니다. if a==1 : print('hello world') 띄어쓰기의 일반적인 약속은 '공백 4개 입니다. 2020. 12. 5.
파이썬 가상환경이 왜 필요할까? 파이썬 가상환경이 왜 필요할까? 이유는 간단합니다. 여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A프로그램은 버전1, B프로그램은 버전2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동시에 설치하는게 불가능합니다. 이런 경우 가상환경을 사용합니다. 컴퓨터가 여러대가 되는 효과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각 가상환경에 다른 버전의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프로그램을 각 가상환경에서 개발하는 것입니다. 2020. 12. 5.
파이썬 2에서 파이썬 3된 이유 파이썬 2에서 파이썬 3된 이유 현재 파이썬은 파이썬 2와 3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파이썬 2는 2020년에 지원이 종료될 것이라 파이썬 3만 남을 것인데요. 원래는 파이썬 2만 있다가 2008년에 파이썬 3이 배포되었습니다. 3으로 숫자를 바꿔 배포한 이유는 호환성 때문입니다. 이전버전과 호환되지 않을 정도의 큰 변화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변화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문법이 '더' 이해하기 쉽게 바뀜- 유니코드 지원- 표준 라이브러리가 정리됨- 비동기 I/O 지원 2020. 12. 3.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논리형으로 변경 (bool)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논리형으로 변경 (bool) bool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을 논리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bool(3)True >>> bool(0)False 실수형을 논리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bool(3.3)True >>> bool(0.0)False 문자열을 논리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bool("hi")True >>> bool("")False 2020. 11. 28.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경 (str)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경 (str) str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을 문자열로 변경해봅시다. >>> str(3)'3' 실수형을 문자열로 변경해봅시다. >>> str(3.3)'3.3' 논리형을 정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str(True)'True' 2020. 11. 28.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실수형으로 변경 (float)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실수형으로 변경 (float) float 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수형을 실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float(3)3.0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float("123")123.0 논리형을 실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float(True)1.0 문자로된 문자열의 경우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float("hi")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float("hi") ValueError: could not convert string to float: 'hi' 2020. 11. 28.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 (int) [파이썬]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 (int) int함수를 이용하면 다른 유형의 데이터를 정수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int(3.5)3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int("123")123 논리형을 정수형으로 변경해봅시다. >>> int(True)1 문자로된 문자열의 경우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 int("hi")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int("hi") ValueError: invalid literal for int() with base 10: 'hi' 2020. 11. 28.
파이썬 사용자에게 입력값 받는 법 (input 함수) 파이썬 사용자에게 입력값 받는 법 (input 함수) input 함수는 사용자에게 입력값을 요청하는 함수입니다.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면, 해당 값을 반환합니다.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 >>> input("아무거나 입력해줘 : ") 아무거나 입력해줘 : 여기요'여기요' 입력값을 변수에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 res=input('입력해줘:') 입력해줘:여기요 >>> res'여기요' input 함수가 반환하는 값은 항상 '문자열'입니다. >>> res=input('입력해줘:') 입력해줘:12345 >>> res'12345' 2020. 11. 28.
파이썬 대입연산자 7가지 대입연산자는 연산의 결과를 변수에 대입해주는 연산자입니다. 덧셈 대입연산자는 += 입니다. 예를들어봅시다. >>> x=5 >>> x+=4 x가 얼마가 되었을까요? 4가 더해진 결과가 입력되어 9가 됩니다. >>> x 9 이와 유사한 연산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덧셈 후 대입 -= 뺄셈 후 대입 *= 곱셈 후 대입 /= 나눗셈 후 대입 //= 몫 구한 후 대입 %= 나머지 계산 후 대입 **= 숫자 제곱 후 대입 2020. 11. 28.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 + , -, *, /, **, //, %) 파이썬 산술연산자 7가지 ( +, -, *, /, **, //, %) 파이썬 산술연산자는 아래와 같이 일곱가지가 있습니다 1. 덧셈 ( + ) 문자열도 덧셈가능. >>> 2+35 >>> "hi"+"hello"'hihello' 2. 뺄셈 ( - ) 문자열은 뺄셈 불가. >>> 2-3-1 >>> "hi"-"hello"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 line 1, in "hi"-"hello" TypeError: unsupported operand type(s) for -: 'str' and 'str' 3. 곱셈 ( * ) - 문자열도 정수와 곱셈 가능. 실수와는 곱셈 불가. >>> 3*412 >>> "hi"*3'hihihi' >>> "hi"*3.0Traceback.. 2020. 11. 28.
파이썬에서 지수 표현하는 방법 파이썬에서 지수 표현하는 방법 파이썬에서 지수표현을 할 떄는 영어 E 또는 e를 사용하면 됩니다. 소문자던 대분자던 상관 없습니다. 의미는 10^ 라는 의미입니다. 예를들어 e2 는 10^2 라는 의미입니다. E2=e2=10^2 실제로 파이썬에서 사용해봅시다. >>> 3.33e2333.0 >>> 3.33e-10.333 2020. 11. 28.
부동소수점의 의미 부동소수점의 의미 부동소수점은 움직이지 않는 소수점이라고 오해하기 쉽습니다. 부동자세에서 처럼 아니(부)에 움직일(동)으로 해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부동소수점의 부동은 지나다(부)에 움직일(동)입니다. 지나가면서 움직인다는 말입니다. 소수점이 지나가면서 움직인다는 것은 이런 의미입니다. 3.3을 예로 듭시다. 3.3을 표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이 무수해 많습니다. 0.33X100.033X10^20.0033X10^30.00033X10^4... 위와 같이, 동일한 실수를 소수점이 옮겨다니며 여러가지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런 표현방법을 부동소수점 방식이라고 합니다. 반대의 의미로는 고정소수점방식이 있습니다. 2020. 11. 28.
파이썬 반복문과 함께 쓰는 range와 enumerate 함수 for문과 함께 사용되는 함수에는 range 함수와 enumerate 함수가 있습니다. range 함수 range함수는 특정 정수부터 1간격의 수열을 생성해주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형태로 많이 사용됩니다. for i in range(2,10) : print(i) 아래는 출력결과입니다. 2 3 4 5 6 7 8 9 enumerate 함수 enumerate 함수는 입력된 데이터에 순서(index)를 추가하여 튜플 형태로 반환합니다. a=[1,2,3,4,5,6] for i in enumerate(a): print(i) 아래는 출력 결과입니다. (0, 1) (1, 2) (2, 3) (3, 4) (4, 5) (5, 6) 2020. 11. 26.
파이썬 작업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변경하는 방법 파이썬 작업디렉토리(working directory) 변경하는 방법 import os #확인하는 법current_path=os.getcwd() #변경하는 법os.chdir('원하는 경로') 2020. 11. 25.
파이썬 시간/날짜 모듈 (datetime 모듈, datetime 클래스의 모든 메소드 설명) 파이썬 시간/날짜 모듈 (datetime 모듈, datetime 클래스의 모든 메소드 설명) datetime 모듈은 파이썬에서 시간/날짜 관련 클래스와 함수를 제공하는 모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datatime 모듈 안에 있는 datetime클래스를 공부해봅시다. datatime 모듈 구조 -> datatime 클래스 구조 의 순서로 살펴봅시다. 아래는 datatime 모듈의 구조입니다. >>> import datetime>>> dir(datetime) ['MAXYEAR', 'MINYEAR', '__builtins__', '__cached__', '__doc__', '__file__', '__loader__', '__name__', '__package__', '__spec__', 'date', 'date.. 2020. 11. 23.
파이썬 시간/날짜 모듈 (datetime 모듈, date클래스의 모든 메소드 설명) 파이썬 시간/날짜 모듈 (datetime 모듈, date클래스의 모든 메소드 설명) datetime 모듈은 파이썬에서 시간/날짜 관련 클래스와 함수를 제공하는 모듈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datatime 모듈 안에 있는 date클래스를 공부해봅시다. datatime 모듈 구조 -> data 클래스 구조 의 순서로 살펴봅시다. 아래는 datatime 모듈의 구조입니다. >>> import datetime>>> dir(datetime) ['MAXYEAR', 'MINYEAR', '__builtins__', '__cached__', '__doc__', '__file__', '__loader__', '__name__', '__package__', '__spec__', 'date', 'datetime', 'datet.. 2020. 11. 23.
파이썬에서 문자열 여러줄로 만들기 파이썬에서 문자열 여러줄로 만들기 문자열을 여러줄로 만들 때는 개행의 기능을 하는 이스케이프 문자인 \n을 사용합니다. 아래는 사용예시입니다. >>> print("안녕하세요\n 두번째 줄 입니다\n 세번째줄입니다.")안녕하세요 두번째 줄 입니다 세번째줄입니다. 2020. 11. 22.
파이썬 자료형 확인하는 방법 (type 함수) 파이썬 자료형 확인하는 방법 (type 함수) 해당 자료가 어떤 자료형인지 알고 싶을 때는 type 함수를 사용합니다. >>> s='hi'>>> type(s) >>> n=123>>> type(n) >>> f=123.3>>> type(f) 2020. 11. 22.
파이썬 자료형이 무엇인가요? 파이썬 자료형이 무엇인가요? 컴퓨터 프로그램들은 자료를 다룹니다. 예를들어 회사 직원들의 이름, 전화번호, 나이를 프로그램에 입력한다고 할 때, 이들도 자료입니다. 자료를 입력받는 프로그램들은 자료를 몇가지로 구분해놓았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간단합니다. 사용하기 편하기 위해 그런겁니다. 파이썬은 자료를 크게 세 종류로 나눕니다. 순자형, 문자열, 논리형입니다. 문자형이라고 하지 않고 문자열이라고 한 이유는 파이썬에서 문자자료를 정의할 때는 문자들의 배열로 정의하기 때문입니다. 파이썬 문자열은 자료형보다는 자료구조에 가깝습니다. 숫자형 : 점수, 나이 등 숫자자료문자열 : 이름, 직업 등 문자자료논리형 : 참, 거짓 자료형은 자료를 다루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건물의 벽돌, 사람 몸의 세포와 같은 역할.. 2020. 11. 22.
파이썬 주석 넣는 방법 (#) 파이썬 주석 넣는 방법 (#) 주석은 프로그램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코드입니다. 보통 코드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 앞에 #을 붙여주면 됩니다. >>> #이건 주석>>> #주석입니다 2020. 11. 21.
파이썬 클래스, 변수, 함수를 구분하는 방법 (식별자) 파이썬 클래스, 변수, 함수를 구분하는 방법 (식별자) 파이썬 개발자들이 클래스, 변수, 함수를 만들때 지키는 규칙이 있습니다. 클래스는 캐멀케이스로 이름을 짓고, 함수와 변수는 스네이크케이스로 이름을 짓습니다. 첫 글자가 소문자이 경우는 언더바가 없더라도 스네이크 케이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아래는 캐멀 케이스 이므로클래스입니다. Person() 아래는 스네이크 케이스이므로 함수 또는 변수입니다. 괄호가 있으면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print() 이 규칙이 항상 지켜지는 것은 아닙니다. 작성자 맘이어서 아닌 경우도 있지만 식별자를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규칙이므로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2020. 11. 21.
파이썬 변수이름의 대표적인 두가지 스타일 파이썬 변수이름의 대표적인 두가지 스타일 파이썬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를 식별자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변수 또는 함수이름입니다. 식별자를 만들 때 아래와 같은 네가지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식별자를 만드는 두가지 대표적인 스타일이 있습니다. 이름을 알아보기 쉽게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1) 스네이크 케이스 (snake case) 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사용합니다. 뱀처럼 연결됩니다. my_array 2) 캐멀케이스 (camelcase)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합니다. 낙타같이 생겼습니다. MyArray 2020. 11. 21.
파이썬 변수이름 만들때 규칙 파이썬 변수이름 만들때 규칙 파이썬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를 식별자라고 합니다. 쉽게 말하면 변수 또는 함수이름입니다. 식별자를 만들 때 아래와 같은 네가지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1) 키워드를 사용 불가 키워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False', 'None', 'True', '__peg_parser__', 'and', 'as', 'assert', 'async', 'await', 'break', 'class', 'continue', 'def', 'del', 'elif', 'else', 'except', 'finally', 'for', 'from', 'global', 'if', 'import', 'in', 'is', .. 2020. 11.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