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2 . Numpy 제공 자료구조/Array 연산

[파이썬 numpy] 외적이 헷갈리는 이유 (cross product, outer product 차이)

by 만다린망고 2020. 11. 10.
반응형

[파이썬 numpy] 

외적이 헷갈리는 이유 (cross product, outer product 차이)


외적이라 불리는 연산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cross product (고등학교에서 배운 벡터의 외적, 벡터곱)

2) outer product (외적, 텐서곱)


고등학교에서 우리는 1번을 외적이라고 불렀습니다. 하지만 영어 의미를 생각했을 때, 외적이라고 번역되기에는 2번이 더 알맞아 보입니다. 실제로 2번도 외적이라고 불립니다. 여기서 혼동이 발생합니다. 누군가 '외적' 이라고 말하면,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 수가 없는 것입니다. 


고등학교에서 배운 외적은 cross product로 전혀 외적으로 번역될 이유가 없습니다. 그런데 왜 외적으로 불리게 된걸까요? 그 이유는 내적의 반대의미로 불리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내적을 스칼라곱이라고 합니다. 연산의 결과가 스칼라이기 때문입니다. Cross product를 했더니 결과가 벡터가 나온겁니다. 그래서 벡터곱이라고 불렀는데,스칼라곱과 반대로 벡터곱이 나왔으니까, 내적과 반대로 외적이라 부르자고 한 것입니다. 영문 번역에 알맞게 부르는 경우, 가위곱이라고 부릅니다. 


혼동을 피하기 위해 1번을 벡터곱, 2번을 텐서곱이라고 부르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반응형

댓글